game business

지휘자와 게임프로듀서

정순권 2009. 9. 29. 10:53
소니의 오가 노리오 회장이 쓴 <소니 할리우드를 폭격하다>를 읽고 난 후, 오케스트라에서 지휘자에 역활에 대해서 한참 생각한적이 있다. 그 책을 읽고 얼마지나지 않아 평소 좋아했던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을 카라얀지 지위한 것을 듣게 되었다. 그런데, 평소 듣던 음악과는 다른 음악이 나오고 있었다. 기존보다 훨씬 다 박진감 넘치고, 웅장한 소리였다. 그것도 CD가 아닌 라디오였는데 말이다. 


<사진 1. 오가 노리오 회장>

물론 카라얀은 아주 유명한 지휘자라 그전에 그의 스타일을 대충 인터넷을 통해 알고 있었다. 하지만, 지휘자에 대해서 아무런 생각이 없던 나에게 같은 음악을 지휘자만 바꼈는데도 너무나 다른 음악이 된것에 대해 너무 놀랐다.

이 때, 노리오 회장에 대한 이야기가 다시 생각났다. 
'지휘'에 관한 것이었다. 

물론 노리오 회장이 원래 음악 전공이기도 했지만 왜 그토록 지휘에 집착했을까? 그리고, 어느 정도 장성한 기업의 CEO들은 지휘자와 클래식의 매력에 빠져드는 것일까? 그리고, 잠시 그 생각을 잊고 있었다.

그러다가 열심히 게임을 개발하고 있던 중, '베토벤바이러스'라는 드라마를 우연히 보게 되었고, 지휘자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하게 되었다. 

게임 개발에 있어서 프로듀서의 역활. 음악 연주에서의 지휘자. 성공적인 게임 개발과 성공적인 지휘를 위해서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사실 게임 개발에 있어서 처음부터 끝까지 그것을 말로 표현할 수는 없지만 머리 속에 이미지화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게임 프로듀서 이다. 음악 지휘도 마찬가지이다. 다들 악보를 통해서 그 음악이 어떻게 연주되어야하고, 기존의 곡들은 어떻게 연주해야한다는 것들은 알고 있지만, 그 지휘자가 원하는 음악은 사실 그 지휘자만 알고 있는 것이다.

게임프로듀서나 지휘자나 자신이 원하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분명하게 정의되지 않은 자신의 머리 속에 있는 그 느낌을 오케스트라나 개발자들에게 전달해야하며, 그들 개개인들을 잘 조화시켜야 한다.


<사진 2. 폰 카라얀>

<베토벤 바이러스> 나 이런 음악과 관련된 영화를 보다 보면, 중간에 꽤 많은 에피소드가 등장한다. 꽤 많이 나오는 예가 연주 중에 특정 악기에 문제가 생기거나, 연주자의 신변에 문제가 생겨 연주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때, 지휘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악은 아니지만, 그 상황에서 최선의, 최고의 작품을 연주하기 위해서 대응하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실 사전에 오케스트라 단원들의 개인적 신상에 대해서 꽤 많은 것들을 알고 있어야하고, 개개인의 성향 또한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위해 미리 알아두어야 한다. <베토벤 바이러스>에서 김명민이 장근석을 연주에 참여시키거나, 남편의 반대로 인해 자신의 오랜 꿈이었던 첼리리스트를 포기한 <똥덩어리> 아줌마의 숨겨진 끼를 발굴해 내는 것이 바로 그러한 역활이다.

이런 것 말고도 예전 어떤 연주회 장에서 굉장히 밝은 곡을 연주하는데, 연주를 들은 관객들이 그 공연을 마치고 나오면서 왠지 울적한 기분이 들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연주회 도중 그 나라의 대통령이 돌아가셔서 지휘자가 원래의 음악보다 조금 우울하게 지휘했다는 것이었다.

지휘자의 역활은 이런 것이다. 게임 개발도 그렇다. 각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들만이 모여서 개발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게임 프로듀서. 즉, 게임 개발의 지휘자는 이 능력을 가진 사람들의 개개인의 특징을 파악해서 자신이 원하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서 지휘를 해야하는 것이다. 

중간에 기술적인 문제도 발생하고, 경영진과의 문제도 발생하며, 개발자의 개인의 사정으로 인해서 도중에 그만두는 상황도 발생한다. 이런 상황들을 예측해야하고, 발생했을 때 대응에 대한 책임도 지휘자에게 있는 것이다.

각각의 분야에서 능력을 가진 사람. 각각의 악기를 연주하는 오케스트라에서의 단원. 이들을 조화롭게 그리고 완벽하게 연주해야하는 점. 이를 통해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게임을 만들고, 음악을 연주한다는 것. 이 둘은 종합 예술이라는 측면에서 꽤 많이 닮아 있다.

물론, 이런 생각을 한 뒤 경영의 측면에서도 똑 같은 것 같다. 게임과 오케스트라 공연만이 그런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생각했는데 하나의 기업을 경영하는 것 또한 게임과 오케스트라 공연 만큼 중간의 많은 변수와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 같다. 

성공적인 게임 개발, 성공적인 기업 경영. 성공적인 음악 연주. 이것을 하기 위한 마에스트로의 역활. 내가 있는 곳에서 과연 나는 어떤 마에스트로가 되어야 할지 깊이 생각해보아야할 문제다.

부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