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Boogab.com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Boogab.com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89)
    • thinking (65)
    • game business (20)
    • business (4)
  • 방명록

전체 글 (89)
토끼와 거북이

몇일 전 하는 형이 와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토끼와 거북이'의 차이점을 나에게 묻는 것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이야기는 토끼는 자기의 실력만 과신한체 성실하지 않은 '게으름'의 상징이고, 거북이는 그런 것과 상관 없이 성실히 목표점을 향하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견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 형이 이야기하는 내용은 내 무릎을 치게 만들었다. 토끼와 거북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토끼는 목표점을 도달해야한다는 생각보다는 자기보다 못한 거북이와 경쟁했고, 거북이는 토끼와의 경쟁보다는 자신이 도달해야할 목표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즉, 토끼는 거북이를 이기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에 더 빨리 목표점에 도달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앞선다는 생각에 잠깐 잠깐 쉬었던 것이다. 다시 생각..

thinking 2008. 2. 10. 09:59
[2008-01-001] '대화'를 읽고 ...

대화(한 지식인의 삶과 사상) 상세보기 리영희 지음 | 한길사 펴냄 이 책은 이 땅에서 '지식인'으로서 살아간다는 것이 어떠한 일인지를 생생하게 증언한다. 스스로 "60% 저널리스트, 40% 아카데미션"이라고 말하는 리영희의 글이 학자들에 의해 가장 영향력 있는 저서로 꼽히고 수많은 사람들의 의식을 깨우치며 삶을 통째로 뒤흔들었던 까닭은 대단한 이론이나 새로운 담론을 제시했기 때문이 아니다. 오직 한국 현대사의 온갖 질곡 앞에서 진실을 있는 그대로 글로 옮겼기 때문이다. 그는 모든 '리영희'라는 지식인에 대한 호기심으로 읽기 시작한 책. 책이 너무 두꺼워 읽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걸렸다. 물론, 들고 다니기가 부담스러워 자주 못 들고 다닌 것도 한 몫했다. 하지만, 읽는 시간 동안은 대화라는 형식과 워낙..

thinking 2008. 2. 10. 09:43
김치가 맛있는 집

몇일 전 외근을 갔다가 배가 고파서 밥 먹을 곳을 찾던 중 외관만 보아도 심상치 않았는데 가게 이름도 "얼큰한 순대국"이라는 집에 꽂혀서 들어갔었더랬습니다. 평소 음식점의 포스를 잘 느끼는 저로써는 뭔가 숨겨진 밥집을 찾았다는 시대에 부풀어 있었죠. 그리고, 김치와 밑 반찬이 나왔습니다. 너무 배가 고픈터라 김치를 덥썩 먹었죠. 김치가.. 정말 정말 맛있었습니다. 배가 고파서인지는 모르겠지만, 같이 간 사람도 김치가 너무 맛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본 메뉴인 순대국이 나왔습니다. 역시나, 그 순대국도 평소에 즐겨먹던 것과는 다르게 너무나 고소하고 간판대로 얼큰 하였습니다. 갑자기 이 이야기를 왜 했냐면.. 그 순대국을 먹다가 갑자기 든 생각이 "김치 맛 있는 집 치고, 음식 맛 없는 집 있을까?"라는 생..

thinking 2008. 1. 15. 09:10
투표일 ....

아침에 영어 학원을 가느라 요즘 계속 일찍 일어나는데.. 꽤 오랜 시간이 지나 일찍일어나는게 습관이 될만한데도 아직은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게 그렇게 쉽지 않다. 오늘은 투표일이라 늦게 일어나도 됨에도 불구하고, 워낙 빡센 영어 학원은 오늘도 수업을 하고.. 어쨋든.. 여러가지 이유로.. 일찍 일어나야겠다는 생각에 잠들었는데.. 투.표.일 이라는 것 때문이었을까? 5시 30분부터 .. 투표소가 열기를 기다리며 준비를 했다. 무슨 내가 후보도 아닌데.. 왜 이렇게 기분이.. 묘한건지.. 나도 나이가 들어서 꽤 많은 횟수의 투표를 했지만 이번에는 기분이 상당히 색다르다.. 내 주변은 꽤 많은 친구들은 놀러를 갔다. 투표를 해야한다고 그렇게 이야기를 했건만... .... 아쉽다. 그들은 잘 살고 싶으면서 자신이..

thinking 2007. 12. 19. 08:40
허경영에 대한 나의 생각 ...

어제 잠깐 이색적인 공약들로 이번 대선에서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허경영 후보가 토론에 참석한 것을 보았다. 물론 다른 군소후보들도 있었지만, 나름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자라 주의 깊게 듣지 않을 수 없었다. 사실, 허경영 후보의 공약들을 보면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하는 부분이 없잖아 있긴하다. "어.. 저렇게 하면 되겠네... " 라는 생각 말이다. 주변에 허경영이라는 후보를 보고 그냥 "재미있는 꺼리"라고 생각하고 쉽게 넘기는 경우가 있는데, 나는 조금 다르게 생각한다. 물론, 이 군소 후보들이 나와서 어느정도의 득표율을 달성할지는 모르지만, 득표율보다는 어떻게 보면 우습기도.. 어떻게 보면 말도 안되는 같은 공약들이 실제로 다양한 생각과 지금 가고 있는 방향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

thinking 2007. 12. 14. 09:28
똑 같은 처지에서.. 정동영과 노무현의 차이

5년전 국민의 정부 마지막에서 노무현이 맞은 상황과 정동영이 맞은 상황은.. 같습니다. 하지만, 두 지도자의 모습을 보십시오. 노무현 대통령은 대통령이 되어서도 자신이 옳다는 것에 대해서 굽히지 않았고, 대통령이 되기 전에도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당.. 그리고 정책에 대한 의지를 굽히지 않았습니다. 뭐가 다를까요? 노무현은 철학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대통령이 되어서 뭘 해야할지를 분명히 알고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결단을 내릴 때 정동영보다는 훨씬 더 편했을 것입니다. 왜냐면.. 목적이 분명했으니깐.. 물론 정동영도 목적이 분명할 것입니다. 아니, 정동영의 판단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만.. 오늘 전 조선일보와 그의 인터뷰 전문에서.. 그가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thinking 2007. 12. 10. 18:33
지지율에 대한 단상

대선 때문에 이러 저러한 말들이 많다. 그 중에 아주 희안한 하나가 있어 한마디 할려고 한다. 바로 지지율이다. 내 주변에 꽤 많은 사람(최소 50명이상, 동료, 부모님, 택시 기사 등)을 대상으로 물어봤을 떄 대부분이 아직 후보자를 정하지 못했다 이다. 하지만, 이명박 후보는 지지도가 35~40%에 육박하고 있고, 이것은 움직이지 않고 있다. 왜 그럴까??? 여론 조사 결과 자료를 한번 쭉 보았다. 여기서 눈에 띄는 내용이 있었으니 ... 바로 응답율이다. 보통 1,000명을 대상으로한 전화 설문조사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중에 20% 정도만 응답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80%는 응답을 거부했다는 것인데.. 왜 거부했을까? 설문 조사를 보면, 20%의 상당수가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면..

thinking 2007. 12. 4. 14:38
연애하자 ...

연애하자 ... 결혼을 걱정하지 말고.. 이별도 걱정하지 말고.. 연애하자. 만나기 전에 두근거리고.. 만나면 두근 거리고.. 헤어지면 아쉬운 그런 연애하자. 어릴 때 과학자가 되던 꿈을 꿨을 때 .. 그 두근거림의... 어른의 희망과 같은.. 그런... 연애하자. 그렇게.. 그렇게.. 내 마음이 편안하고.. 니 마음이 편안하고.. 함께 언제나 두근 거리며.. 행복할 수 있는... 그런 연애하자.. 연애하자. BooGab_

thinking 2007. 12. 3. 11:14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액션 어드벤처 게임 - 테일즈런너
  • 나우콤
  • 음악 게임 - 오투잼
  • 미디어플록
  • My twitter
  • My me2day
TAG
  • 오투잼
  • 울림
  • 게임마케팅사례
  • 자극
  • 게임서비스
  • 게임
  • 인생수업
  • 아이폰
  • 자아발견
  • iphone4
  • 경영
  • 정동영
  • 게임프로듀싱
  • 연애
  • 대선
  • 행복
  • 정순권
  • 문국현
  • 스타트업
  • 대통령선거
  • 조직관리
  • 온라인게임
  • 지혜
  • 노무현
  • 자아실현
  • 게임마케팅
  • 네이버
  • 사업
  • 게임개발
  • 테일즈런너
more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